2025년 5월 상담 및 지원 이슈

2025-06-18

사단법인 청소년 성소수자 지원센터 띵동

2025년 5월 상담 및 지원이슈


🫂상담

상담 통계

총 상담인원 34
신규 상담인원 10
정규상담 건47
카카오톡 응대 및 문의 건514
그외 상담 건

*부모, 가족, 교사, 청소년 기관 실무자 등

2



방문
전화
화상통화
카카오톡
출장
위기지원

사례동행

기타
합계
1월
18
13
0
4
1
0
0
36
2월
31
28
0
2
2
0
0
63
3월2092200
0
33
4월20181010040
5월24202100047



상담 이슈 통계 건, 가나다순

가족과의 갈등
가족의 학대
가해 상담
금융/대출
노동권 침해
대인관계
16
5
0
0
0
16
디스포리아
범죄 피해
병역
빈곤
사이버범죄 피해
성관련 고민
9
1
6
4
0
3
성매매
성소수자
차별/증오 범죄
성정체성 고민
성폭력
아우팅
약물 및 마약
117100
연애문제
연인의 폭력
일자리
임신
자립
자살위기
8030137
자해
전환치료 피해
정신건강/심리문제
종교
주거
진로/학업
60252610
질병/성병
청소년 주거시설
관련
커밍아웃
탈가정
탈학교/학업중단
트랜지션
01137318
학교안 갈등/폭력
혐오발언 피해
HIV/AIDS
기타


2206




🆘위기지원

위기지원 통계

센터이용 99
방문인원 17
방문횟수 건27
위기지원 총계 38


센터이용 내역 건

식사
간식
휴식/낮잠
샤워실
세탁기
대화
독서
컴퓨터
생필품
보드게임
젠더표현
기타
2424212024200002


위기지원 내역 건

생활지원
심리상담 지원
의료지원
법률지원
주거지원
기타
141293
0
0

* 생활지원 : 생필품 지원, 식사 지원, 젠더표현 물품지원 등

* 심리상담 지원 : 책임심리 상담 진행 및 심리상담 기관 연계

* 주거지원 : 쉼터 연계 및 주거 관련 전문기관 연계




🎁레인보우키트

레인보우키트 통계

신규 신청자 5
기존 신청자 17
총 신청인원 명22


신청자 구분 명

나이

10대
20대
1
21

정체성

시스젠더 여성
시스젠더 남성
트랜스젠더 여성
트랜스젠더 남성
논바이너리/젠더퀴어
기타
11
5
4
1
1
-

거주지

서울
인천/경기도
비수도권
미확인
7
6
6
3




2025년 5월 띵동은 총 34명의 청소년 성소수자와 47건의 상담을 진행했습니다. 지난 달 대비 상담 건수가 소폭 증가했으며, 이에 따라 띵동을 처음 방문한 청소년 성소수자의 수도 증가했습니다.


5월 띵동은 총 10명의 청소년 성소수자와 '자립'과 관련된 상담을 진행했습니다. 25년 5월 한 달 간 '자립' 관련 상담은 총 13건으로, 지난 달 6건과 비교하여 눈에 띄게 증가한 수치입니다.


상담실 안에서나 전화 상담을 통해 '자립'에 대한 고민을 털어놓는 청소년 성소수자들은 대개 심각한 가정폭력을 경험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이들 대부분은 자신의 성 정체성을 수용하기를 거부하는 가족의 태도로 인해 '탈가정'을 고민하거나 시도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10대 청소년 성소수자의 '탈가정'과 '자립' 시도는 우리 생각보다 더 막막한 어려움을 동반하고 있습니다. 일자리를 구하는 것부터 주거를 마련하는 과정까지, 어느 누군가에게는 그저 평범하게 어려울 수 있는 과정이 청소년 성소수자에게는 성 정체성과 어린 나이라는 요인이 더해지며 훨씬 더 고되고 험난한 시련으로 덮쳐오고 있습니다.


이에 어떤 청소년 성소수자들은 비슷한 처지의 친구나 또래 파트너를 만나 함께 집을 구하고, 일자리를 얻어 삶의 어려움을 같이 부딪혀 보려고 시도하기도 합니다. 한편 어떤 이들은 나이도 있고 경제력도 있는 이의 도움을 얻어 거주지를 마련하고 일자리를 구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런 탈가정 청소년 성소수자의 선택은 제각기 다른 상황으로 나아가곤 합니다. 어떤 선택은 청소년 성소수자의 '자립'을 위한 든든한 디딤돌이 되기도 하지만, 어떤 선택은 예상치 못한 위험과 어려움을 안겨주는 걸림돌이 되기도 하기 때문입니다.


가족에게 성 정체성을 거부당해 집을 나오기로 결심한 한 청소년이 있습니다. 어린 나이라는 이유로 고시원 계약을 몇 차례 거부당하기도 했으며, 주민등록번호와 보이는 성별이 다르다는 이유로 구직에 어려움을 겪기도 했습니다. 꿈과 미래에 대한 계획이 분명히 있음에도 당장의 월세와 식비를 마련해야 하기에 하루 종일 일에만 매달려야 하는 상황에 처해 있기도 했습니다.


이러한 상황은 '탈가정'을 시도한 청소년 성소수자가 '자립' 과정에서 흔히 겪을 수 있는 문제입니다. 어떤 이들은 그렇기에 청소년이 집을 나오는 것을 '잘못된 선택'이라 치부하고 조속히 원가정으로 복귀할 것을 권고하기도 합니다. 하지만 이 청소년이 당장 겪는 문제가 바로 그 '집'에서 출발했다는 점을 우리는 간과해서는 안 됩니다. 그 청소년 성소수자는 자신의 오롯하고 존엄한 삶을 위해서 바로 그 '집'을 벗어나고자 결심한 것입니다.


청소년은 활동가와 식사를 나누며 "(집을 나온 건)제가 할 수 있는 최고의 선택이었어요"라고 말했습니다. 그리고는 자신의 트랜지션 계획에 대해서, 앞으로의 삶에 대해서 이야기했습니다. "(집을 나온 것을)후회하지는 않아요. 중학생 때 망쳤던 시험이나 후회하고 있어요”라고 웃으며 말하기도 했습니다. 띵동은 그 역시 전혀 후회할 일이 아니라 말했습니다. 그리고 띵동은 그 청소년이 나아갈 앞으로의 삶에 함께하고 싶다고 말했습니다.


띵동은 한 명의 청소년 성소수자가 자신답게 살아갈 수 있는 사회가 바로 우리 모두가 자신답게 살아갈 수 있는 사회라 믿습니다. 그렇기에 자신의 삶을 스스로 고민하고 안전하게 나아갈 수 있는 미래를 위하여 띵동은 앞으로도 청소년 성소수자의 가장 곁으로 다가가고자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