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생계지원: 생필품지원, 식사지원 등
* 주거지원: 쉼터 연계 및 주거관련 전문기관 연계
-
8월에는 그동안 띵동에서 지원해 온 범죄 피해 사건의 재판이 있었고, 피해를 입은 청소년 성소수자가 증인으로 진술하는 과정에 띵동 활동가가 동행하였습니다.
다신 떠올리기 싫을 기억을 되짚으며 힘겹게, 하지만 용기있게 증언을 해 나가는 청소년의 모습을 보면서 방청석에 앉은 활동가들이 더 힘 받는 시간이었습니다. 한편으로는 청소년 피해자가 안전감을 느끼며 증언할 수 있는 환경의 조성이나, 질문의 취지를 잘 이해할 수 있도록 충분한 설명이 필요했음에도 그러한 배려가 전혀 없는 신문과정을 보며, 여전히 청소년에게 문턱이 높고 불친절한 사법절차를 체감하기도 했습니다. 탈가정 청소년에 대한 재판부의 편견이 느껴지는 질문에서는 분노하지 않을 수 없었습니다.
띵동 활동가들은 청소년 성소수자들을 보다 잘 상담하고 필요한 지원을 놓치지 않기 위해, 꾸준히 상담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노력을 하고 있습니다. 8월에는 상담사가 알아야 할 법률, 여성주의 상담의 이해 등의 강의를 함께 수강하였습니다.
2021년 8월 상담 및 위기지원 이슈
1. 8월 상담통계
2. 7월 상담개괄
3. 위기지원 통계
* 생계지원: 생필품지원, 식사지원 등
* 주거지원: 쉼터 연계 및 주거관련 전문기관 연계
-
8월에는 그동안 띵동에서 지원해 온 범죄 피해 사건의 재판이 있었고, 피해를 입은 청소년 성소수자가 증인으로 진술하는 과정에 띵동 활동가가 동행하였습니다.
다신 떠올리기 싫을 기억을 되짚으며 힘겹게, 하지만 용기있게 증언을 해 나가는 청소년의 모습을 보면서 방청석에 앉은 활동가들이 더 힘 받는 시간이었습니다. 한편으로는 청소년 피해자가 안전감을 느끼며 증언할 수 있는 환경의 조성이나, 질문의 취지를 잘 이해할 수 있도록 충분한 설명이 필요했음에도 그러한 배려가 전혀 없는 신문과정을 보며, 여전히 청소년에게 문턱이 높고 불친절한 사법절차를 체감하기도 했습니다. 탈가정 청소년에 대한 재판부의 편견이 느껴지는 질문에서는 분노하지 않을 수 없었습니다.
띵동 활동가들은 청소년 성소수자들을 보다 잘 상담하고 필요한 지원을 놓치지 않기 위해, 꾸준히 상담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노력을 하고 있습니다. 8월에는 상담사가 알아야 할 법률, 여성주의 상담의 이해 등의 강의를 함께 수강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