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1년 띵동 상담 및 위기지원 결산
청소년성소수자위기지원센터 띵동의 상담지원팀에서
2021년 1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 진행된 상담 470건, 위기지원 132건에 대해
통계와 경향을 분석한 결산 보고서입니다.
파일 다운로드: 게시물 하단에 첨부된 '2021년 띵동 상담 및 위기지원 결산 최종.pdf' 파일
- 띵동의 청소년 성소수자 상담은 2021년 한 해 동안 총 470건 이루어졌으며,
- 총 119명의 청소년 성소수자를 만났습니다.
- 2021년에 띵동과 처음으로 만난 청소년 성소수자는 68명이었습니다.
- 정규 상담 이외에 카카오톡 채널을 통해 청소년 성소수자와 메시지를 주고받은 건수는 총 2,583건이었으며,
- 청소년 당사자 외의 부모·가족·교사·실무자 등이 상담을 요청해 응대한 경우는 46건이었습니다.
- 내담자 119명 중 시스젠더 여성은 28명(23.5%), 시스젠더 남성은 23명(19.3%), 트랜스젠더 여성은 33명(27.7%), 트랜스젠더 남성은 10명(8.4%), 젠더퀴어/논컨퍼밍은 16명(13.4%), 퀘스쳐너리는 5명(4.2%), 미상 또는 기타 정체성을 가진 이는 4명(3.4%)이었습니다. 통합해 살펴보면 시스젠더 청소년은 51명(42.9%), 트랜스젠더, 젠더퀴어 청소년은 59명(49.6%)으로 과반에 가까웠습니다.
- 성적지향으로 구분해보면 여성애자는 28명(23.5%), 남성애자는 26명(21.8%), 양성애·범성애·다성애 등 논모노섹슈얼은 36명(30.3%), 무성애는 4명(3.4%), 퀘스쳐너리는 9명(7.6%), 미상/기타는 16명(13.4%)으로 나타났습니다. 논모노섹슈얼의 비율이 여성애, 남성애 청소년의 비율보다 높았으며 가장 비중이 많았습니다.
- 2021년 한 해 정신건강·심리문제, 트랜지션, 가족과의 갈등, 진로/학업, 자립이 상위 5개 이슈로 집계되었습니다.
- 띵동의 위기지원 건수는 132건, 101명을 대상으로 이루어졌습니다. 주거지원은 4건, 의료지원 32건, 생계지원 95건, 법률지원 21건, 심리상담 지원은 7건이었습니다.
- 지난 해에는 특히 의료지원과 법률지원 사례가 두드러졌습니다. 탈가정 청소년은 정신건강의학과를 비롯한 병원을 이용할 때 비용 마련의 어려움은 물론이고 애초에 이용 자체를 거부당하기도 합니다. 병원에서 내부 규칙 등을 근거로 10대 청소년의 진료, 치료에 부모 등 법적 보호자의 동의를 요구하는 경우가 있기 때문입니다. 띵동에서는 서울시립십대여성건강센터 나는봄 등 유관 기관과 협력하여 탈가정한 청소년 성소수자의 정신적, 신체적 돌봄을 다방면으로 지원하고자 했습니다. 법률지원의 경우 성폭력 피해를 입은 청소년에게 피해 구제, 가해자 신고 절차 등을 안내하고 지역 여성단체 등과 연계하여 법적 절차에 동행, 지원하는 사례 등이 있었습니다.
- 센터이용은 62건 이루어졌습니다. 서로의 안전을 확보하면서 대안적인 돌봄을 제공하려는 노력으로 식사 기프티콘을 제공하는 '마음 편한 한 끼'를 제공하거나, 줌(zoom) 상담 방식 등을 도입하였습니다.
- 연간 50건 이루어진 띵동의 '레인보우키트 지원 사업'은 전국에 흩어져 스스로 삶을 살아내고 있는 탈가정 청소년 성소수자들을 생필품 지원을 통해 띵동과 연결하며, 이들이 체감할 수 있는 안전의 범위를 넓히기 위한 중요한 수단입니다. 매월 신청하는 청소년들과 간단한 전화 상담을 통해 안부를 묻고, 건강과 경제상황 등을 확인하면서 청소년 성소수자가 존엄한 삶을 살아갈 수 있는 최소한의 조건이라도 확보할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습니다.
띵동 덕분에 정말 죽다 살아난 기분이 들었어요. 가장 힘들 때 아무도 도와주지 않았고 외로웠는데 처음 도움의 손길을 얻은 곳이 띵동이었네요.- 레인보우키트로 띵동 상담과 연결된 청소년 성소수자의 이야기
세부 분석
1) 높은 가정 내 갈등/폭력 비율, 낮은 주거지원 건수
2) 정신건강 위기의 심각성, 충분하고 적절한 지원의 부재
3) 범죄피해 취약성 및 피해지원기관의 낮은 인권감수성
4) ‘안전한 공간’의 필요성
*
게시물에 첨부한 PDF 파일을 통해 아래 내용에 대해 더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1. 상담 통계
- 상담 건수 및 인원 … pp.1 - 신규 상담 유입 경로 … pp.1 - 상담 방법 … pp.3 - 연령, 성 정체성, 지역별 상담 인원 … pp.3 - 성별정체성별 상담회기 … pp.8 2. 상담 이슈 - 이슈별 상담 건수 … pp.8 - 연도별 변화 추이 … pp.10 - 연령, 성별정체성별 상담 이슈 … pp.11 - 탈가정 이슈와 주거지 … pp.15 3. 위기지원 통계 - 위기지원 건수 및 인원 … pp.16 - 센터이용 … pp.17 4. 상담·위기지원 세부분석 … pp.18 |
|
2021년 띵동 상담 및 위기지원 결산
1) 높은 가정 내 갈등/폭력 비율, 낮은 주거지원 건수
2) 정신건강 위기의 심각성, 충분하고 적절한 지원의 부재
3) 범죄피해 취약성 및 피해지원기관의 낮은 인권감수성
4) ‘안전한 공간’의 필요성
1. 상담 통계
- 상담 건수 및 인원 … pp.1
- 신규 상담 유입 경로 … pp.1
- 상담 방법 … pp.3
- 연령, 성 정체성, 지역별 상담 인원 … pp.3
- 성별정체성별 상담회기 … pp.8
2. 상담 이슈
- 이슈별 상담 건수 … pp.8
- 연도별 변화 추이 … pp.10
- 연령, 성별정체성별 상담 이슈 … pp.11
- 탈가정 이슈와 주거지 … pp.15
3. 위기지원 통계
- 위기지원 건수 및 인원 … pp.16
- 센터이용 … pp.17
4. 상담·위기지원 세부분석 … pp.18